반응형 리서치5 인터뷰 결과는 어떻게 분석해야 할까 ① 키워드 추출하기 안녕하세요, IT 판에 굴러들어 온 리서처, GULEE입니다. 설문조사와 같은 정량 조사는 통계분석 후 숫자를 보면 명확하지만 정성 조사 결과는 분석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사실 제가 정성 조사 결과를 분석하는 모든 방법을 아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하면서 선배들에게 배우고 제가 나름대로 터득한 방법이 있어 그것들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인터뷰 결과 분석의 핵심은 키워드 추출과 그루핑입니다. 키워드는 한 명의 고객이 말한 내용에서 중요한 단어를 의미하며, 그루핑은 서비스 프로세스 혹은 고객 특성별로 유사한 것들끼리 묶는 것입니다. 하지만 인터뷰를 진행하고 녹취록을 작성해놓았다고 해서 분석이 저절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사실 결과 분석은 인터뷰 진행 중에 노트 테이킹(필기.. 2022. 11. 10. 인터뷰에서 고객의 진심 파헤치기 ② Probing 안녕하세요, IT 판에 굴러들어 온 리서처, GULEE입니다. 인터뷰 현장으로 고객 유인하기 인터뷰에서 고객의 진심 파헤치기 ① Guideline 준비에 이어서 Probing(캐묻기)을 통해 고객의 진심을 어떻게 파헤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1. Probing이란? 인터뷰에서 고객의 응답을 계속해서 (꼬치꼬치) 물어보는 것을 Probing이라고 합니다. 리서치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이고, 보통 프루빙이라고 발음합니다. 아주 쉽게 하는 방법은 직접적으로 이유를 물어보는 것입니다. 이전 편과 마찬가지로 쇼핑 어플의 사용성 개선을 위해 인터뷰를 진행한다고 가정해보죠. Q : 고객님은 어떤 쇼핑 어플을 가장 많이 사용하시나요? A : 저는 A 어플이요. Q : 이유가 무엇인가요? A : 음... 다른 어플.. 2022. 10. 25. 인터뷰에서 고객의 진심 파헤치기 ① Guideline 준비 안녕하세요, IT 판에 굴러들어 온 리서처, GULEE입니다. 이전에 작성한 인터뷰 현장으로 고객 유인하기 편에서는 컨택할 때 고객이 인터뷰에 참여하도록 설득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했습니다. 이번 편은 인터뷰를 진행할 때 고객의 진심을 파악하기 위해 준비해야 하는 Guideline에 대한 것입니다. 우리가 고객에게 궁금한 것이 있는 상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문제가 무엇(what)인지와 그 문제가 왜(why) 발생했는지입니다. 인터뷰를 하는 목적은 보통 why라는 답을 얻기 위해서가 많아 보입니다. 물론 문제가 분명하지 않아 탐색하고 싶을 때는 문제(what) 자체를 알기 위해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인터뷰에서 고객의 진심, 즉 why를 알기 위한 핵심은 Probing(캐묻기)입니다... 2022. 10. 24. 인터뷰 현장으로 고객 유인하기 안녕하세요. IT 판에 굴러들어 온 리서처, GULEE입니다. 인터뷰 방식으로 고객 데이터를 수집해야 할 때, 10명의 고객을 컨택해서 1명이라도 수락하면 박수가 절로 나오게 됩니다. 인터뷰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막막하지만, 사실 그 막막함도 인터뷰이가 있어야 헤쳐 나갈 수 있거든요. 그래서 가장 첫 번째로 발행하는 글은 인터뷰 현장으로 고객을 유인하는 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특별한 방법론은 없습니다. 99%가 말을 어떻게 하느냐와 관련된 것입니다. 그리고 컨택할 때는 아래 내용을 명심하시면 좋겠습니다. 컨택하는 순간부터 인터뷰는 시작입니다. 그리고 컨택이 인터뷰로 성사되지 않아도 고객 데이터는 수집됩니다. 인터뷰를 진행하기로 결정하고 컨택하시기에 앞서 이 두 가지를 잊지 않고 진행하셨으면 합니다.. 2022. 10. 20. 이전 1 2 다음 반응형